국제암연구소(IARC)에서 4월10일자로 발암성물질분류를 업데이트하였으며, 무선주파수 전자기장(Radiofrequency electromagnetic fields)에 대한 발암성평가의 변경은 없었습니다. 현재(4월10일 기준) 955종의 발암성물질에 대해 아래와 같이 분류되어 있으며, 인체발암물질로 확인된 발암물질은 111종이며, 2011년 5월, 휴대폰의 전자기장은 Group 2B(인체발암가능물질)로 분류되었습니다.
Group 1 |
인체발암물질 (충분한 인간대상 연구자료와 충분한 동물실험결과가 있는 경우) |
111 |
Group 2A |
인체발암추정물질 (제한적 인간대상 연구자료와 충분한 동물실험결과가 있는 경우) |
65 |
Group 2B |
인체발암가능물질 (제한적 인간대상 연구자료와 불충분한 동물실험결과가 있는 경우) |
274 |
Group 3 |
인체발암성미분류물질 (불충분한 인간대상 연구자료와 불충분한 동물실험결과가 있는 경우) |
504 |
Group 4 |
인체비발암성추정물질 (인간에서 발암가능성이 없으며 동물실험결과도 부족한 경우) |
1 |
최근 업데이트 된 발암성물질 분류 리스트는 아래 링크에서 확인 가능 합니다.
2020년께 4G 유럽 모바일 연결 전체 절반 초과 전망 (0) | 2014.12.10 |
---|---|
스웨덴 연구- 휴대전화 25 년 이상 사용하면 뇌종양 발병 위험 3 배 (0) | 2014.11.19 |
어린이의 휴대전화 사용과 ADHD의 위험 증가 (0) | 2013.04.15 |
FCC, 미국 RF 안전규칙 검토 착수 (0) | 2013.04.11 |
국제비전리방사보호위원회(ICNIRP), 새로운 조직편성 공개 (0) | 2013.04.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