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대전화에서 나오는 전자파가 종양을 유발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미국에서 나왔다. 하지만 지금까지 나온 대부분의 연구는 둘 사이에 연관이 없다는 쪽이어서 이를 둘러싼 학계 논쟁이 다시 촉발될 것으로 보인다.
미국 국립보건원 산하 '국립 독성물질프로그램(NTP)'이 쥐(rat)와 생쥐(mouse)를 휴대전화 전자파에 정기적으로 노출한 결과 일부 쥐에서 종양이 유발됐다고 월스트리트저널 등이 27일(현지 시각) 보도했다. 연구진은 휴대전화의 대표적 표준인 GSM(유럽 이동통신 규격)과 CD MA(코드 분할 다중 접속) 방식을 각각 적용한 900MHz의 전자파를 실험에 사용했다. 이 전자파를 실험 대상 쥐에 10분간 노출하고 10분간 중단하는 방식으로 하루 9시간씩 2년 동안 연구를 진행했다. 실험 결과 일부 쥐의 뇌에서 악성 신경교종(malignant gliomas), 심장에서 신경초종(schwannomas) 종양이 각각 발견됐다.
뇌 신경교종은 GSM과 CDMA 전자파를 쪼인 수컷 쥐의 최대 3.3%에서 발병이 확인됐고, 암컷 쥐에서는 각각 1.1%, 2.2%가 발병했다. 심장 신경초종은 CDMA 전자파를 쪼인 쥐에서 최고 6.6%의 발병률을 기록했다. 연구진은 "전자파에 노출하지 않은 쥐에서는 종양이 발견되지 않았다"며 "쥐의 뇌와 심장에 종양이 생긴 것은 전자파에 노출된 결과로 보인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이번 연구 결과는 NTP가 진행 중인 연구의 일부일 뿐 추가로 해야 할 연구가 많아 결과를 속단할 수 없다는 지적이 나온다. 지난달 호주 시드니대 연구팀은 30년 동안의 자료를 활용해 "휴대전화는 급격히 보급됐지만 뇌종양 발병률은 높아지지 않았다"는 연구 결과를 내놓았다. 뉴욕타임스는 "100만명 이상의 여성을 대상으로 한 영국과 35만명을 상대로 한 덴마크 등의 연구에서도 종양과 전자파의 연관 증거가 나오지 않았다"며 "내년쯤 NTP의 전체 연구 결과가 나오면 학자들이 좀 더 심도 있게 검토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출처]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6/05/30/2016053000263.html
전기장판·헤어드라이어 11월부터 전자파 인체보호 기준 적용 (0) | 2016.08.08 |
---|---|
꿈의 전자파 '테라헤르츠파' 세기 조절한다 (0) | 2016.06.17 |
국립전파연구원, 나주 드림스타트 어린이 대상 '전자파 안전교육' 실시 (0) | 2016.04.26 |
스포츠과학고 인근에 변전소 건립 논란 (0) | 2016.04.25 |
'고압선 노출' 유치원, 전자파 우려…"차폐 시설 필요" (0) | 2016.03.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