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수도권 몰리는 데이터센터.. '유해성' 불안감 확산

최신 전자파 이야기/전자파 동향(국내)

by 전자파소녀 2023. 4. 14. 09:16

본문

초고압선 매설 깊이 두고 기업·주민 갈등
주거지와 가까워 화재 위험성도 높아

효성중공업이 안양시 호계동에 짓고 있는 데이터센터도 주민들의 반대에 부딪힌 상황이다. 해당 데이터센터는 아파트 단지와 10m가 조금 넘는 도로를 사이에 두고 있는 것으로 확인된다. 연합뉴스

최근 데이터센터 분야에 대한 산업계의 기대가 높아지는 것과는 대조적으로 센터 가동을 위한 초고압 송전선과 전자파 유해성 문제 등이 불거지면서 데이터센터에 대한 인식이 어두워지고 있다.

지난달 LG유플러스의 경기도 안양시에 평촌2센터 공사에는 잡음이 발생했다. 유해 전자파가 예상되는 초고압선 매설 문제로 주민들이 공사 반대에 나선 것이다. 주민 반대로 공사가 멈추게 된다면 올해 2~3분기 안에 준공을 완료하고 연내 가동을 시작하려 했던 계획에 차질이 생길 전망이다.

이를 두고 '전자파 유해성'이 뜨거운 감자다. 국제비전리방사선보호위원회(ICNIRP)는 1998년 833mG(밀리가우스)를 인체 보호를 위한 전자파 국제 권고기준으로 제시했고, 2010년에는 권고기준을 2000mG로 상향했는데 우리나라는 초기 기준을 따르고 있기 때문이다.

공사를 진행 중인 LG유플러스와 허가를 내준 안양시측은 현행 전자파 기준에 적법하게 진행 중이라는 입장이나 주민들은 전자파 위험이 높은 초고압선 매설 지점이 너무 얕다고 지적한다. 주민들이 자주 다니는 길에서 매일 전자파를 맞으며 생활해야 하기 때문이다.

LG유플러스의 초고압선 매설 깊이는 1.2m 안팎이며 이보다도 얕은(69cm) 구간도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부천시와 성남시의 지중선로 깊이는 각각 1.2m~49m, 1.2m~33.4m 정도다.

또 수도권 땅이 좁아 데이터센터가 주거지 인근에 지어지는데, 지난해 9월 SK C&C 판교 데이터센터 화재 사건으로 인해 불안하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데이터센터가 화재가 나기 쉬운 구조라고 단언할 수 있는 것은 아니나 리튬이온 배터리를 사용하기 때문에 한번 화재가 발생하면 제어가 어렵고 큰 화재로 이어질 수 있다.

안양시 뿐만 아니라 최근에 수도권에서는 데이터센터와 관련한 갈등들이 동시다발적으로 벌어지고 있다. 데이터센터 착공이 수도권에 집중되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2022년 9월 기준 전국에 구축된 데이터센터 중 60%가 수도권에 위치해 있다. 여기에 오는 2029년까지 신설 예정인 데이터센터 637곳 중 550곳(86.3%)이 서울·경기·인천에 들어설 것으로 계획돼 있다.

이에 산업부는 지난 18일 데이터센터 수도권 집중 완화 방안 및 한전, 지자체 인센티브에 대해 설명하는 '데이터센터 수도권 집중 완화 정책 설명회'를 개최하기도 했다.

산업부는 설명회에서 ▲전력수요 분산 인센티브 및 정보제공·컨설팅 지원 ▲지역의 전력수급 여건과 연계한 입지 발굴 및 인센티브 제공 등의 계획을 소개하면서 수도권 외 지역 데이터센터 추진을 장려했다.

특히 지역의 전력수급 여건 연계를 설명하며 산업부는 호남권에서 문제가 되는 재생에너지 출력제어와 강원도와 같이 송전 제약으로 발생하는 잉여전력을 많은 전력이 필요한 데이터센터 운영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수도권에 데이터센터를 분산함과 동시에 과잉생산 문제를 겪고 있는 재생에너지도 활용하겠다는 계획이다.

그러나 업계에서는 현실성이 떨어진다는 반응이 나온다. 데이터센터는 서버를 내부에서 관리하지 않고 데이터센터에 위탁해 초고속인터넷 백본망에서 고객의 서버와 통신장비를 직접 연결하고 관리해 주는 '코로케이션' 형태의 사업을 주로 영위하고 있어 지방으로 이전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입장이다.

데이터센터는 포털사이트나 온라인 쇼핑몰, 게임업체 등 인터넷 사업을 영위하는 사업자에게 필수적인 기반시설이라 수요 업체 대부분이 수도권에 위치해 있어 수도권에 편중될 수밖에 없다는 설명이다.

코로케이션과 같은 상업용 데이터센터는 주 고객인 클라우드 서비스 사업자(CSP)가 서비스의 안정적 운영을 위해 입주 센터 간 이격거리를 제한해 계약하고 있기도 하다.

이를 지방으로 이전한다면 24시간 무중단 운영을 위해 근무 인력확보는 물론 고객 유치 문제 등도 해결해야 하는 상황이다.

산업계에서는 데이터센터가 현대 들어 필수 시설로 자리잡은 만큼 보다 명확한 기준과 안전 대비책들을 마련해야 한다고 제언한다.

업계 한 관계자는 "데이터센터 관련 기준을 구체적으로 마련해서 주민들의 불안감을 해소시켜야 산업이 안정적으로 확대될 수 있을 것"이라며 "지역균형 발전 차원에서라도 수도권 편중도 해결해야 할 문제"라고 짚었다.

서갑원 대한전기협회 상근부회장은 "4차 산업혁명 기술이 발전하면서 데이터센터는 미래 산업의 중요한 인프라가 되고 있으나 지역 주민들이 불안해하는 것도 사실"이라며 "문명 발전이 삶의 질을 높이는 변화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함께 노력해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출처: 스트레이트 뉴스 https://www.straigh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25820>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