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H밥솥 취사 직후엔 가까이 가지 마세요…전자파 높아"
과기정통부 생활환경 전자파 측정결과 모두 기준 충족
‘5G’ 기지국 전자파 세기 ‘LTE’ 보다 낮아
IH밥솥은 동작후 10분간 높아
5세대(5G) 이동통신 기지국 전자파 세기가 4G보다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또 순간적 가열이 필요한 IH 전기밥솥과 헤어드라이기에서 일반 가전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전자파가 발생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주요 생활제품과 유아동 시설, 대형 쇼핑몰 등 생활환경 전자파 노출량을 측정한 결과 모두 전자파 인체보호기준을 만족했다고 28일 밝혔다.
시민단체와 학계, 일반 시민들이 참여한 이번 측정에서는 가습기, 식기세척기 등 국민이 신청한 제품 4종, 전열제품 7종, 살균기 2종 등 생활제품 13종, 유아동·노인시설, 대형쇼핑몰 등 생활환경 1,394곳의 전자파를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에서 측정·분석했다.
이번 조사에서는 최근 5G 기지국 설치가 증가하는 가운데 5G 기지국 전자파에 대한 인체영향 우려가 높은 점을 고려해 동일한 지점에서 4G와 5G(3.5㎓) 기지국의 전자파 세기를 동시에 측정했다. 생활환경 1,394곳에서 전자파 세기를 측정한 결과 4G 기지국은 전자파 인체보호기준 대비 1~3% 내외였고, 3.5㎓ 대역 5G 기지국은 1~2% 내외로 4G 기지국에 비해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측정대상 시설(지역)별로는 유아동 시설이 전자파 인체보호기준 대비 1% 미만으로 가장 낮았고, 대형쇼핑몰과 버스터미널과 같이 일반인이 많이 이용하는 시설이나 도심 번화가는 1 ~ 3% 내외였다. 이동통신 기지국 외의 TV 방송국과 무선공유기, 공공 와이파이 등의 전자파 세기는 인체보호기준 대비 1% 내외로 나타나 생활환경 전반에서 국민에게 노출되는 전자파 세기는 낮은 수준임이 확인됐다.
온수매트, 식기세척기, 온수매트, 제습기 등 생활제품 13종에 대한 전자파 발생량이 대부분 기준 대비 1~2% 수준으로, 모두 전자파 인체보호기준을 만족했다.
다만, 순간적 가열이 필요한 헤어드라이어, IH 전기밥솥은 기준을 충족하지만, 제품 특성상 일반 가전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전자파가 발생했다. 특히 솥 밑면을 가열하는 일반 밥솥과 달리 자기장으로 솥 전체를 가열하는 유도가열 방식 밥솥인 IH전기밥솥은 동작 후 약 10분간 전자파가 기준 대비 최대 25% 정도로 상대적으로 높았다. 가열 시간 이후 나머지 취사 시간이나 보온 상태에서는 일반 가전과 비슷한 기준 대비 1~2% 정도의 전자파가 발생했다. 취사동작 직후에는 IH 전기밥솥 가까이 접근하지 않는 것이 전자파 노출을 낮출 수 있다는 게 과기정통부의 설명이다.
과기정통부는 “생활환경 전반에서 국민에게 노출되는 전자파 세기가 낮은 수준임을 확인했다”며 “앞으로도 생활 속 전자파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국민들이 신청하는 생활 제품과 공간의 전자파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제공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출처 : 서울 경제 www.sedaily.com/NewsView/1ZBUXQZ2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