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로 귀여운 디자인이나 저렴한 요금제 등을 앞세우며 초등학교 입학선물로 '키즈폰' 선물을 홍보하고 있는데, 유해물질에 성인보다 상대적으로 취약한 어린이가 사용하는 만큼 디자인과 요금제 못지않게 제품 선택 시 전자파 등을 확인할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 매달 초, 전파연구원 홈페이지에서 키즈폰 등 전자파 확인 가능
국립전파연구원은 매달 초 홈페이지를 통해 국내에 판매되는 전자제품 중 머리에 근접 사용하는 제품에 대한 전자파 흡수율(전자파 방출량, 최대 Head SAR값)을 공개하고 있다. 2014년 8월 이후 판매되는 제품에서 나오는 전자파의 측정치가 0.8W/㎏ 이하면 1등급으로 표시되고 0.8~1.6W/kg인 경우는 2등급을 부여한다. 인증제 시행 전 인증을 받은 제품의 경우 등급은 부여되지 않았지만, 출시 때 안전기준을 적용했기 때문에 안전에는 문제가 없다는 것이 전파연구원의 설명이다.
전자파 흡수율은 인체에 흡수되는 전자파량을 측정한 값으로 인체 1㎏에 흡수되는 전자파 에너지의 양(W)으로 표시하는데 전자파 흡수율이 1W/kg라면 인체 체질량 1kg당 1W의 전자파가 흡수된다는 뜻이다. 수치가 클수록 전자파 영향도 그만큼 커질 수밖에 없다.
현재 SK텔레콤과 KT, LG유플러스에서 판매되는 키즈워치 대부분은 '1등급(0.631~1.19W/kg)'을 받았고, 많은 키즈폰은 '2등급(1.19~1.27W/kg)'을 받았다. 최근에 출시된 LGU+의 '리틀프렌즈폰2'를 제외한 대부분이 제품은 전파연구원 홈페이지에서 해당 제품의 전자파 흡수율을 확인할 수 있다. 리틀프렌즈폰2의 전자파 흡수율은 다음 달 초 공개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