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센터 건설시장이 수도권에서 지방으로 확산되고 있다. 지방자치단체들이 지역경제 활성화와 고용창출을 위해 데이터센터 건립유치에 나서면서 건설사들 신규먹거리도 늘어나는 분위기다. 정부도 데이터센터 수도권 집중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지방분산을 적극 지원하고 있다.
하지만 시장전망은 밝지만 않다. 자잿값과 인건비가 가파르게 오르면서 공사비 부담이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공사비 증가는 사업추진 동력을 떨어뜨리는 주요인중 하나다. 고압배전설비 등 데이터센터 자체건립 비용도 상당한데 여기에 추가공사비까지 더해지면 지자체든 건설사든 수지타산이 맞지 않게 된다.
전자파 노출 등으로 인한 주민반대로 부지선정이 쉽지 않은 점도 풀어야할 과제다.
30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정부와 지자체가 데이터센터 지방분산 및 유치를 적극 추진하면서 수주가뭄에 시달리던 건설시장에 오랜만에 화색이 돌았다.
최근 화두가 된 '챗GPT' 등 생성형AI와 자율주행, 로봇 등 사용이 늘면서 데이터센터 수요도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다. 삼성증권은 국내 데이터센터 건설시장 규모가 2021년 약 5조원에서 연평균 약 15.9%씩 성장해 2027년 8조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문제는 데이터센터 대부분이 수도권에 집중돼 있다는 점이다. 산업통상자원부 통계를 보면 국내 데이터센터 60%, 전력수요 70%가 수도권에 몰려 있다.
이 경우 수도권 대형재난으로 데이터센터에 문제가 생기면 심각한 통신인프라 마비와 데이터손실 등을 초래할 수 있다. 여기에 이미 전력사용량이 포화상태인 수도권에서 전력난을 일으키는 요인이 될 수도 있다.
더욱이 데이터센터 수요는 계속 늘고 있지만 수도권에는 더이상 센터와 고압송배전 설비를 지을만한 부지가 부족한 점도 한계로 꼽힌다.
이에 전국 지자체들은 적극적으로 데이터센터 설립을 유치하고 있다. 전남도청은 최근 카카오엔터프라이즈와 장성 남면에 3만3000㎡ 규모 데이터센터를 구축하는 협약을 체결했다. 산업부 데이터센터 지방분산 정책을 실현한 첫 사례로 공사비는 4900억원 규모다.
또한 경남 함양군은 역대 최대인 1조2500억원 규모 데이터센터 투자유치에 성공했고 강원 태백시는 SH에너지솔루션과 폐광지역 경기활성화를 위한 데이터센터 구축 업무협약을 맺었다.
데이터센터 수요가 늘면서 건설사들도 발빠르게 시장선점에 나서고 있다. 특히 시공만 맡았던 과거와 달리 지분을 투자하고 사업개발과 운영까지 총괄하면서 수익성을 끌어올리고 있다.
SK에코플랜트는 인천 부평구 청천동 국가산업단지내에 국내 최대 규모인 120㎿급 상업용 데이터센터를 조성하고 있다. 총사업비 1조원에 이르는 대형프로젝트다.
SK에코플랜트는 지난해부터 사업추진을 공식화하고 특수목적법인(SPC)을 설립해 사업을 진행해왔다. 최근 4400억원 규모 프로젝트파이낸싱(PF)을 완료하며 사업개발을 위한 '실탄'도 확보했다.
SK에코플랜트 관계자는 "2020년부터 전담조직을 신설해 데이터센터사업을 적극 전개하고 있다"며 "이번 사업외에도 캠퍼스·모듈러타입 등 다양한 형태 데이터센터 상품을 개발하고 있다"고 말했다.
GS건설도 2021년 자회사 '디씨브릿지'를 설립하고 데이터개발 및 운영사업에 뛰어들었다. 2020년 21㎿ 규모 안양 데이터센터 개발사업을 수주해 공사를 진행중이다.
이밖에 삼성물산·현대건설·DL이앤씨·대우건설·한화 건설부문 등 대형건설사들이 사업다각화를 목표로 데이터센터 사업수주에 나서고 있다.
다만 꾸준히 늘고 있는 수요와 별개로 데이터센터시장의 지속 가능성엔 의문부호가 붙고 있다.
IT 등 관련 업계에선 데이터센터 지방분산 정책을 두고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센터를 지방으로 이전할 경우 상주인력을 따로 채용해야 하기 때문에 비용부담이 증가하고 그만큼 고객사 선호도도 떨어질 것이라는 주장이다.
대형건설 A사 관계자는 "지자체들이 너도나도 센터유치를 홍보하고 있지만 정작 입주할 기업을 구하지 못하면 수익은커녕 애물단지만 될 수 있다"며 "특히 요즘처럼 건설사가 데이터센터 개발과 운영까지 도맡는 경우 미입주 리스크가 상당할 것"이라고 말했다.
지속적인 공사비 인상도 사업동력을 떨어뜨리고 있다. 실제로 경남 김해시가 추진중인 'NHN 데이터센터' 건설사업은 공사비 인상 직격탄을 맞아 좌초위기에 놓였다.
본 사업은 5000억원을 들여 김해시에 제2데이터센터를 건립하는 것으로 HDC현대산업개발이 시공을 맡고 있다. 2020년 협약 당시 경남도청과 김해시는 신규일자리 500개가 생긴다며 대대적으로 선전했지만 자잿값 등 공사비가 급증하고 부동산경기 침체로 수익성이 낮아지면서 사업추진이 어려운 지경에 이르렀다.
과도한 전자파 노출 등을 우려한 주민반대도 넘어야 할 산이다. 효성그룹이 안양시 호계동에 추진중인 호계GDC데이터센터는 인근 주민들 반대로 2년 넘게 첫삽조차 뜨지 못하고 있다. 네이버는 2017년 경기 용인시 기흥구 공세동에 제2데이터센터를 건립하려 했지만 주민들 반발에 부딪혀 결국 무산됐고 사업지를 세종으로 옮겼다.
건설업계 한 관계자는 "데이터센터를 수도권에 짓자니 주민반발과 부지부족이 발목을 잡고 지방에 건설하자니 수익성 악화가 우려되는 상황"이라며 "결국 수익성과 주민반발 해소 문제를 한번에 해결할 수 있는 국가산단내 데이터센터 수주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